블로그 이미지
책달구지 출판사 공식 사이트
책달구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글 보관함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비베카난다 잠언집 종교편'에 해당되는 글 1

  1. 2020.08.23 당신은 그것이다 릴리스( 보도) 자료

당신은 그것이다 릴리스( 보도) 자료

2020. 8. 23. 23:14 | Posted by 책달구지

품목 정보

책 제목: 당신은 그것이다 [부제: 비베카난다 잠언집 종교편]

저자: 스와미 비베카난다

출판사: 책달구지

출간일: 2020.9.1

분야: 종교

제본: 무선

쪽수: 214p

크기: 신국판

ISBN: 979-11-967845-5-3

정가: 13,000

 

 

책 소개

비베카난다의 전집 Complete Works of Swami Vivekananda Vol. 1 ~10 에서 종교 관련 잠언들을 발췌한 잠언집 시리즈 제2. 일반적인 종교의 식견에서 벗어나 가장 광대한 폭으로 비베카난다는 종교를 설계, 그의 종교적 이상을 펼쳐 보인다. 우리의 상식 수준에서 비베카난다의 의식 세계 수준으로 승화시킨 종교에 대한 책이다.

종교의 참 모습을 모르고서 종교에 대해 부정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에게, 그리고 나의 것 외의 다른 종교에 대해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는 책이다. 단순히 보여지는 차원을 넘은 종교의 속 깊은 면을 비베카난다는 알려주면서 긍정적 마인드로 변화 시켜 준다. 한편, 모든 인간은 종교적이라고 한다. 이 말은 물질계의 한계를 넘은 궁극에 모든 사람은 닿을 수 있으며 그 가능성을 실현하는 것이 인생의 중요 측면이라고 일러주면서 인생의 이상(理想)을 형성하게 도와준다.

종교의 베이스는 깨달음에 있다고 하는데, 깨달음은 종교와 같이 안 갈 수 있겠지만, 종교는 깨달음과 뗄래야 뗄 수 없다고 한다. 이는 달마계(Dharma) 종교들(힌두교, 자인교, 불교, 시크교)의 특징이지만, 비베카난다는 깨달음의 개념을 모든 종교에, 모든 인류에 요청한다. 그래서 종교를 한 마디로 깨달음으로도 비베카난다는 정의한다.

세상에는 다양한 종파, 교리 등이 함께 존재하는 가운데, 이들을 가장 큰 높이에서 바라본다면 그 다양한 색깔들은 어떻게 빛날까? 찬란한 다이아몬드 빛을 종교들은 다 같이 내고 있다. 하나의 다이아몬드로서. 우리들은 그 하나의 다이아몬드가 광채를 내는 것을 볼 수 없지만, 비베카난다는 이를 발견, 알려 준다. 다이아몬드가 아름다운 이유는 다른 종교들이 뿜어내는 다양한 색깔의 어울림이다. 각 종교 색깔들이 어울리지 못하는 부분에만 우리는 촉이 곤두서 있지만, 긍정적인 비베카난다는 상호의존하고 있는 종교의 관계성을 지적해 준다. 자신의 힌두교는 다른 종교 없이 존재할 수 없다고 하면서.

비베카난다가 힌두교를 가지게 된 것은 당연히 힌두교 때문이 아니고, 종교 자체가 지역과 시대에 따라 달라야 하기에 자신에게 떨어진 것이 힌두교로, 다른 종교를 지역과 시대로부터 받았어도 비베카난다는 상관이 없었을 것이다. 다양한 종교들이 내는 다른 색깔 간에는 우열의 차이가 없는 만큼 종교 간에도 그러함을 비베카난다의 종교학은 주장, 평화를 도모한다.

한편 비베카난다는 개인적 종교도 강조를 한다. 다른 시대, 다른 장소의 인류를 위해 다양한 종교가 탄생한 만큼 다양한 성격, 개성에 따른 자신만의 종교를 권유한다. 특정 종교 그룹의 카테고리에도 들지 않는 순수한 개인적인 종교를. ‘베다 경전은 베다 경전 자신을 뛰어넘으라고 한다면서 비베카난다는 최종적으로 자신의 손에 들어 온 종교를 뛰어넘는 개인적 종교를 각자 형성하길 요청한다. 모든 종교 서적, 종교 양식은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특정 지역과 특정 시대의 배경 조건 하에 형성되었고 뭇 대중들의 낮은 수준의 선호가 반영되어 있을 수 있다. 그러므로 그 한계를 모든 신도는 초월하고서는 자신에게 걸맞은 최상의 종교를 가져야 한다. 이것이 비베카난다가 종교인들에게 요청하는 바이다. 아마 비베카난다 자신이 그런 종교를 가지고 있었으리라.

 

 

저자 소개

스와미 비베카난다 (1863~1902) 자기완성과 봉사. 이 두 단어로 그를 설명할 수 있겠다. 혹자는 인도의 영적 지도자로 부르기도 하지만, 비베카난다는 그런 위치를 원하지 않았다. 그의 가르침에 따르면 비베카난다 자신이 바로 모든 이들의 하인이다. 하인으로서 세상을 섬기고 싶어 했고 심지어는 개인의 해탈을 거부하였다. 윤회하여 자신을 사회 발전에 쓰고 싶었기 때문이다. 출가와 수행을 돕기 위해 승원을 설립하였으나 자신의 이름이 아닌, 스승의 이름을 따 설립하였다. 그의 책은 세계 많은 나라에서 읽히고 있으며 인도의 스승을 넘어 세계인의 스승이 되어 있다. 살아생전 미국과 유럽에서 강연을 많이 하였기에 이미 유명인사였다. 병약한 몸으로 인해 일찍 영면하였지만 그의 놀라운 통찰은 사람들의 뇌리에 언제나 진동하고 있다. 인도 사상을 동서양에 빛내고 사람들의 정신을 고양한 업적으로 인도 정부는 비베카난다의 생일을 공휴일로 지정, 그의 가르침과 공훈을 기린다.

 

 

목차

스와미 비베카난다에 대하여

PART 1. 종교

1-1. 비베카난다 종교학

1-2. 종교에 덧붙여

1-3. 무엇이 종교이고, 무엇이 종교가 아닌가?

1-4. 하나의 종교

1-5. 하나의 신

1-6. 이 종교, 이 종파 간의 상호보완성

1-7. 종교의 외형, 우상, 제식

PART 2. 신과 영혼

2-1. 신은 무엇이며, 신은 어떠한가?

2-2. 인격적 신에서 비인격적 신으로

2-3. 신을 어떻게 모시는가?

2-4. 신인일체(神人一體), 당신은 그것이다.

2-5. 영혼, 영성

2-6. 천국

2-7. 기타

PART 3. 종교의 실천

3-1. 수행(修行)

3-2. 삼가 및 주의

3-3. 해탈 및 깨달음

3-4. 출가 및 여읨

역자 후기

 

 

책 속으로

* 종교는 책이나 스승이나 선각자들에 의지하지 않는다. 종교는 그런 것들에 우리가 의존 않게 하며, 종교는 사람들이 사람들에 의지케 하지 않는다. (1-1. 비베카난다 종교학)

* 고아들에게 빵 한 조각도 가져다주지 못하고 미망인들의 눈물을 닦아 주지 못하는 종교나 신이라면 난 믿지 않으련다. (1-2. 종교에 덧붙여)

* 종교는 존재와 생성이지 듣는다거나 인정하는 것이 아니다. 지적 동의도 아니다. 단지 한 인간의 성질 전부가 변해가는 것이다. 그런 것이 종교다. 지적인 동의(同議)로 우리는 수백 가지의 어리석은 것을 취하고 다음 날 바꾼다. (...) 지적 동의, 지적 이의 둘 다 종교가 아니다. (1-3. 무엇이 종교이고, 무엇이 종교가 아닌가?)

* 종교는 하나이지만 형태, 상징, 표현을 가지고서 우리는 싸운다.(1-4. 하나의 종교)

* 브라흐만이라 부르든, 알라라 부르든, 하나님이라 부르든, 아니면 백 가지 다른 이름으로 부르든, 다 똑같은 하나이다. 이름은 다르지만 신은 똑같은 하나이다. (1-5. 하나의 신)

* 종교의 다양성은 이롭다. 왜냐면 우리를 격려하고 종교적 삶으로 이끄는 한 모든 신념은 좋다. 더 많은 종파가 있을수록 우리 모두 안에 있는 신의 본성을 성공적으로 어필하게 하는 더 많은 기회가 된다. (1-6. 이종교, 이종파 간의 상호보완성)

* 우상숭배에 반대하는 개혁가들이나 우상 숭배를 공공연히 비난하는 자들에게 나는 말하련다. ‘형제들이여, 외적 도움을 버리고서는 무형의 신을 경배하는 것이 당신에게 알맞다면 그렇게 하여라. 그런데 그렇게 똑같이 못 하는 사람들을 왜 비난하는가? (1-7. 종교의 외형, 우상, 제식)

* 많은 질문을 받았다. ‘왜 신이라는 단어를 쓰지?’ 왜냐면 목적에 가장 부합되는 단어이기 때문이다. 그 이상 더 좋은 단어를 찾을 수 없다. 왜냐면 인류의 모든 희망, 포부, 행복이 그 단어에 자리 잡고 있기 때문이다. 지금 (올바른 정의를 사용하게) 세상을 바꾸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와 같은 단어들은 각 단어 뜻의 중요성과 의미를 깨달은 위대한 성인들에 의해 처음으로 만들어졌다. 그러나 사회에 통용되어 무지한 민중들이 단어를 취하면서 정신과 영광을 잃어버리는 결과를 낳았다. ‘이라는 뜻은 옛날부터 사용되었으며, 이 우주 지성의 개념과 위대하고 신성한 모든 것이 단어와 조합되어졌다. (2-1. 신은 무엇이며, 신은 어떠한가?)

* 이원론(二元論)은 감각의 자연스러운 사고이다. 감각에 묶여 있는 한 우리는 신을 인격적 존재로서만 보이게, 세상도 그렇게 보이게 속박당한다. (2-2. 인격적 신에서 비인격적 신으로)

* 살아 있는 신을 섬겨라. 신은 맹인으로, 절름발이로, 가난한 자로, 약한 자로, 악마로 찾아온다. (2-3. 신을 어떻게 모시는가?)

* 보통의 사람들이 실수로 인간이라 부르는 자를 나는 신이라고 부른다. (2-4. 신인일체, 당신은 그것이다)

* 모든 교조, 모든 교리는 나쁘지 않기에 다른 이들을 비난하지 말라. 그러나 종교는 책이나 믿음의 문제도 아닌, 영성의 깨달음임을 삶으로 보여 주어라. 그것을 아는 사람만이 이것을 이해할 것이다. (2-5. 영혼, 영성)

* 고생은 큰 교훈이다. 명심하여라. 이 인생의 큰 이점은 분투이다. 우리가 통과하는 길이다. 천국으로 향한 어떠한 길이 있다면 지옥으로 끝난다. 지옥을 통과해 천국으로 언제나 길이 나 있다. (2-6. 천국)

* 신에 관한 모든 지식이 이 책이나 저 책에 한정되어 있다는 언사보다 더 비참한 모독이 있겠는가? 자그마한 책 안에 들어가 있는 신을 압축하려 하면서 어찌 신은 무한하다고 감히 말할 수 있겠는가? (2-7. 기타)

* 신의 자식들이 굶주림으로 죽고 있다. 물과 툴라시(tulasi) 잎으로만 제사를 올리고 올릴 음식물만큼은 가난한 이들에 보시하여 살아있는 신에게 바치도록. 그러면 신의 영광이 모든 것에 퍼지리라. (3-1. 수행)

* 우리의 충절은 언제나 원칙에 있지 사람에게 있지 않다. 사람은 단지 구체적 표현이고 원칙의 실례이다. 만약 원칙들이 있다면 사람들은 천 번이고 만 번이고 올 것이다. 만약 원칙이 탄탄하다면 붓다와 같은 사람이 수백 번이고 수천 번이고 태어날 것이다. 그러나 만약 그 원칙이 사라지고 잊힌다면 국가 생명 전체가 소위 말해 역사적 인물에 매달리려 할 것이며 종교는 비극과 위험에 처할 것이다. (3-2. 삼가 및 주의)

* 나에게 있어 해탈이란 가난한 자들에게서 신을 보아야 하며 그들에게 가서 섬기는 것이다. 가난한 이들과 불행한 자들은 우리의 해탈을 위해서이기에 고뇌에 지친 자의 모습으로, 미친 사람, 나병 환자, 죄인의 모습으로 나타난 신을 섬겨야 한다. 그런 모습으로 나온 신을 섬기는 것을 허락 받은 우리는 큰 혜택을 입었기에 나는 과감하게 반복하여 말한다. (3-3. 해탈)

* 계율을 못 지킨 실패한 수행자조차도 축복받았다. 출가의 그 이상(理想)을 목격했는 한, 타인의 성공을 어느 정도 목적으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3-4. 출가 및 여읨)

 

 

 

출판사 서평

임과 이기의 종교 ( FROM ‘from being to becoming’ TO ‘being cum becoming’)

 

원문의 ‘being and becoming’을 역자는 존재와 생성으로 번역했는데, 기존 서양 현대 철학의 존재에서 생성으로가 아닌, ‘존재와 생성 둘 다를 취하는 비베카난다의 종교 정의라서 매우 눈에 띈다.

종교의 Becoming믿는 바대로 변해간다.’로 비베카난다는 설명해 주었고, 종교의 Being에 대해서는 부연설명이 없었다. 그래서 본 서평에서 비베카난다가 말하는 그 Being을 밝혀 보고자 한다.

비베카난다는 한편으로, ‘종교는 깨달음이다.’고도 정의했다. 그 깨달음의 상태를 Being으로 필자는 여긴다. 깨달음은 동사가 아니고 명사이다. 어떻게 한다고 해서 되는 것이 아니고, 자력과 상관없이 이루어지는 결과의 상태가 깨달음이기 때문이다. 자력과 상관없기에 추구한다고 해서도 되지 않는 상태이다.

막다른 상태 같은, 더 이상의 Becoming이 없는 깨달음의 Being 상태가 있다는 가정 하에 종교를 BeingBecoming이라고 비베카난다는 정의했을 것이다. 가정이 아니라, 아마 비베카난다 스스로가 깨달았고, 그래서 그렇게 주장할 수 있었을 것이다.

깨달음 같은 절대적인 타겟 목표(being)가 없으면 종교는 맥을 못 춘다. ‘깨달음의 상태는 변화무쌍한 상태이다고 한다면 혼란이 초래될 것이다. 사람들을 신앙(belief system)에 들게 하려면 변함없는 궁극의 주춧돌이 필요하다.

힌두교와 불교의 근본적인 차이점 중 하나가 바로 위의 사례이다. 불교의 무상(無常)과 달리 힌두교는 돌고 도는 원()에 변함없고 절대적인 중심점이 있다고 주장을 한다. 절대적인 아트만(Atman)과 브라흐만(Brahman) 개념을 상정, 변화가 일지 않는 태풍의 눈 또는 회전축이 있음(being)을 주장한다. Becoming하는 한가운데에 절대적인 Being이 있고, BeingBecoming의 이유(cause) 및 의미(meaning)라는 점에서 불교와 절대성 부정(否定)과 매우 큰 차이를 보이다. 불교 또한 깨달음을 강력히 주장하지만, 무상(無常) 원칙에 의하면 깨달음이라는 상태는 고정되어 있지 않다. (개인적으로 불교의 이 논리는 틀렸다고 생각한다. 깨달음을 한번 얻고 난 뒤, 다시금 옛날의 깨닫기 전으로 돌아갈 수도 있다는, 불안한 깨달음이기 때문이다.)

깨달음의 종교는 변화가 더 이상 없는 궁극 상태인 Being, 그리고 깨달음의 절대 임계치로 진행해 가는 Becoming이 함께하는 존재와 생성이 되겠다. 이것이 비베카난다의 종교학이다.

 

----------------------------------------------------------------------------

 

이전 1 다음